제사
페이지 정보
본문
제사는 쌩쑈일 뿐이다? - 자현스님의 붓다로드 71회
* 본 영상은 광고 없이 자발적인 후원으로 제작됩니다.
CMS 후원계좌: 신한 100-028-797247 대한불교조계종 영평선원
https://www.ihappynanum.com/Nanum/B/E6P7C5FF04
* 1만원 이상 후원자는 매월 초하루에 영평선원에서 축원해 드립니다.
영상포교 법공양 후원: 1편 제작비 30만원
동영상 말미에 후원자에 대한 축원이 들어갑니다.
동참 방법: CMS 후원계좌에 후원자 이름으로 입금
* 문의: 010-8554-0220
* 네이버 밴드 쏘댕기기: band.us/@kumarajiva
#제사#차례#조상숭배
#제사지내는법#차례지내는법#명절#추석#설날#제사#차례 제사,차례 지내는 순서(제사상, 차례상 차리는법 위치)
명절 설날.추석.제사차례날에 매년
제사상 차례상 순서와 제사 지내는 순서 혼돈이
오기때문에 항상 간편히 볼수 있게 영상 만들어
봤습니다
간략히 정리해보자면~~~
아래와 같습니다.
1. 강신(降神) : 향을 피워서 조상 영혼을 모셔온다 (제주가 술을 올리고, 제주만 두번 절을 한다)
2. 참신(參神) : 일동 두번 절을 다같이 합니다.
3. 헌주(獻酒) : 술을 제주가 직접 올리고, 제주만 두번 절을 합니다. (첫 잔을 올린 후 축문을 읽습니다.)
4. 삽시정저(揷匙整箸) : 숟가락은 동쪽, 젓가락은 서쪽을 향하게 놓는다. 합문(合門) 문을 닫고 식사시간을 드려야 함. (9수저 드실 만큼의 시간)
5. 시립(侍立) : 일동 잠시 서 있습니다.
6. 사신(辭神) : 수저를 거둔다. (숭늉, 생수 그릇에 수저 놓기), 일동 두번 절을 합니다.
7. 철상(撤床) : 상을 옮겨 놓거나, 상을 90도 돌려 놓는다.
음복(飮福) : 술을 마시거나, 상 차린 음식을 다 같이 나눠 먹는다.
#제사#차례#제사순서#차례순서#차례상#제사상#명절#추석#설날#명절제사#culture#Korean cultural tradition#제사지내는법#차례지내는법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